2017년 3월 11일 토요일

[Microwave Engineering] conjugate dot product에 관하여.

주로 전력을 구할 때 그냥 내적을 하는 것이 아닌, 한쪽에 conjugate를 한 후 내적해주는 것을 볼 수 있다. 그렇다면 왜 conjugate dot product를 해주는 걸까? A, B를 Real, imagine 평면에서의 complex vector라 한다면, B는 A를 기준으로 다시         B = Bin + Bout 라 볼 수 있다. 따라서,  라고 볼 수 있고, 여기서 ABin 은 in phase 성분이다. 그렇다면, conjugate dot...

[Microwave Engineering] The terminated lossless transmission line(종단된 무손실 전송선로)

역시 전자장의 연장선이다. 임피던스는 전압과 전류의 비(ratio)라 했다. 어떤 전송선로가 특성 임피던스 Zo를 갖는다고 한다면 그 전송선로의 전압, 전류비가 정해진 것이다. 이때, 특성임피던스 Zo를 갖는 전송선로가 ZL의 임피던스을 만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?  16차선의 도로가 갑자기 4차선 도로로 이어진다면 그 도로에 있던 차들은 어떻게 될까? 당연히 4차선만큼의 차만 빠져나가고 나머지는 정체될 수 밖에 없다. terminated lossless transmission line도 똑같다. 특성한 전압과...

2017년 3월 8일 수요일

[Random Process] 확률론 2

Defn Let B be a collection of subsets of a sample space S, then B is called a σ-algebra or σ-field iff it satified the following three properties.  1) ∮ ∈ B  2) If A ∈ B, then A^c∈B (B is closed under complementation)  3) If A1, A2, .. ∈ B then union of all Ai ∈ B (closed under countable unions) Defn(Koliogorov) Given a sample space S and an associated σ-algebra B, a set...

[Microwave Engineering] 임피던스에 관하여.

임피던스(Impedance)란 전압과 전류의 비를 뜻한다.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자면, 특정 주파수를 갖는 교류전원에 대하여 전압과 전류는 complex값을 가진다. 즉, 크기(magitude)와 위상(phase)를 갖는다. 그러므로 전압과 전류의 비(ratio) 또한 complex값을 가질 수 밖에 없는데, 이때 그 값을 임피던스라고 하고, 실수값을 저항(registance), 허수값을 리액턴스(reactance)라고 한다. 1. 특성 임피던스(characteristic impedance) - 특성 임피던스는 전송선을 따라 흐르는 전압파와 전류파가 존재하면 이 비율이 입력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것을 뜻한다. 특성 임피던스는 전압파와 전류파의 단순한 비율이다. 그런데, 특성...

2017년 3월 7일 화요일

[DSP] DTFT의 frequency domain에 관하여.

Fourier Transform에서 Time domain을 샘플링한 결과,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주기함수(Periodic)한 성질을 띄게 되었다. 그리고 주파수를 normalize하게 되는데, 단위가 ω(rad/s)에서 Ω(rad)으로 간다는 말씀. 출처 : 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Discrete-time_Fourier_transform The discrete-time Fourier transform of a discrete set of real or complex numbers x[n],...

[Random Process] 1. 집합론, 확률론

랜덤프로세스라는 과목은 확률론에 기반하며, 확률론은 집합론으로부터 시작된다.  그럼 집합론의 정의부터 시작하여 확률론까지의 기본 정의에 대해 이야기해보자. 1. Overview of probability - Probability theory is a branch of mathematics that deal with uncertainty. - A random experiment is an experiment for which the outcome cannot be predicted with certainty. - Probability = chance or likelihood that some outcomes will happen. 2. 집합론(Set Theory) * Definitions -...

[Microwave Engineering] 1. 전송선로 이론

1. 전송선로에 대한 집중정수 소자 회로모델 (Lumped-element model) -> 기존의 회로이론에서는 회로의 물리적 길이가 파장에 비해 매우 작다고 가정했다, 즉 전파의 위상차이가 없다! -> 전송선로 이론에서는 전송선의 물리적 길이가 상당히 길 수 있기 떄문에 길이변화에 따라 선로의 전기적 특성이 달라진다! //위상에 의해 달라지는 전송선의 특성이라..   : http://scieng.net/tech/17102 참고!  다시말해서 특정 회로에 대하여 단위길이당 R, L, G, C를...

3-1

끄적끄적

Recent Posts

Powered by Blogger.